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대표 정책 상품 두 가지.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. 이름은 비슷하지만 내용은 꽤 다릅니다. 2025년 기준, 어떤 상품이 누구에게 더 유리한지 지금부터 구조적으로 정리해 드릴게요.
📌 목차
- 두 상품의 핵심 차이
- 자격 조건 비교표
- 납입 방식 및 수익 구조
- 정부 지원 규모 및 혜택
- 추천 대상 총정리
-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1. 두 상품의 핵심 차이
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
목표 | 자산 형성 + 주거안정 | 단기 목돈 마련 |
운영 기간 | 5년 | 2년 |
지원 형태 | 비과세 + 정부 기여금 + 이자소득공제 | 비과세 + 저축장려금 |
총 수령 가능액 | 최대 5,000만 원 이상 | 최대 1,200만 원 안팎 |
금융기관 | 은행, 저축은행 등 | 시중 은행 위주 |
2. 자격 조건 비교표 (2025 기준)
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
연령 | 만 19~34세 | 만 19~34세 |
연 소득 | 7,500만 원 이하 | 3,600만 원 이하 |
가입 제한 | 중복 가입 불가, 청년내일저축계좌와 병행 불가 | 중복 가입 불가 |
거주지 | 대한민국 국적 + 주민등록상 국내 거주 |
※ 단, 병역 기간 최대 6년은 연령에서 제외 가능 (청년도약계좌)
3. 납입 방식 및 수익 구조
청년도약계좌
- 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 (자율 납입)
-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 면제 + 정부 기여금 별도 적립
- 이자율은 가입 금융사에 따라 다름
청년희망적금
- 월 최대 50만 원까지 납입 (2년간)
- 이자소득 비과세 + 정부 저축장려금 1년/2년차 차등 지급
- 총 이자는 일반 적금 수준
4. 정부 지원 규모 및 혜택
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
정부 기여금 | 최대 월 40만 원 수준 매칭 | 1년차 36만 원, 2년차 24만 원 |
비과세 혜택 | 이자소득세 면제 | 동일 |
총 혜택 추산 | 약 5년간 2,000~3,000만 원 수준 | 약 2년간 70~100만 원 |
5. 어떤 청년에게 어떤 상품이 더 좋을까?
청년도약계좌 추천
- 소득이 일정 수준 있는 사회 초년생 (연 2,400~4,000만 원대)
- 주택자금 등 장기 자산 마련이 목표인 경우
- 매달 여유 자금이 50~70만 원 정도 되는 경우
청년희망적금 추천
- 사회 진입 초반이거나 아직 불안정한 근무 형태인 청년
- 단기 목돈 (2년 기준 1,000만 원 이하)이 필요한 경우
- 월 30만 원 내외 적금만 가능할 경우
6.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© 콘텐츠 제작소 – [콘텐츠 마스터]
※ 정책 내용은 2025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실제 가입 시 금융사 및 정부 지침을 확인하세요.
'공공 소식 큐레이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 월세지원 총정리 2025 – 신청자격, 금액, 지자체별 링크까지 (0) | 2025.04.24 |
---|---|
중소기업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지원 2025 (0) | 2025.04.24 |
💸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- 2025신청 대상부터 금액, 사용처까지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4.24 |
🎓 서울시 청년수당 - 2025 놓치면 아쉬운, 서울 청년들을 위한 월 50만 원 지원 제도 (0) | 2025.04.24 |
🚘 주정차 단속 알림, 바로 신청하세요!(통합 링크 포함) (0) | 2025.04.23 |